여러분들은 퇴근할 때나 잠들기 전, 혹은 장시간 자리를 비울때 컴퓨터를 끄시나요? 안 끄시나요?
생각외로 의외로 컴퓨터를 잘 안 끄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나 집에서 재택업무를 하거나 작업하던 거를 껐다가 다시 켜는 게 은근히 귀찮기 때문에 끄지 않는 분들이 많아요.
해서 오늘은 아주 간단한 키로 전기세를 많이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같이 보시죠~!!
컴퓨터 전기세 아끼는 방법
보통 절전 모드만 걸어놓고 마무리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노트북이야 이 전원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이렇게 절전 모드가 되는데 데스크탑은 전원 버튼을 누르면 그냥 꺼져버립니다.
기본적으로 전원 단추를 눌렀을 때 시스템 종료가 잡혀 있기 때문인데요.
이거를 절전으로 놓고 변경 내용 저장을 누르면 데스크탑도 전원 버튼으로 빠르게 절전 모드로 바꿀 수가 있습니다.
이거는 [시작] 버튼에서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스토리] > [전원 옵션]의 단추 동작 변경 이렇게 들어올 수 있고요.
참고로 최대 절전 모드는 전기를 더 아낄 수는 있지만 다시 깨어나는 데 오래 걸릴 수가 있어서 mva 이상만 추천드립니다.
그래서 보통 절전 모드를 씁니다. 변경하고 저장해줍니다.
✅ “포맷할 필요도 AS 업체 부를 필요 전혀 없습니다” 컴퓨터 고장 고치는 만능 버튼이 따로 있다고
이거조차 귀찮으신 분들은 그냥 데스크탑 전원버튼을 꺼버리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사실 이 전원 버튼의 스위치가 수명이라는 게 있어서 많이 누르면 고장나고 고치는 것도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강제로 눌러서 절전 모드를 쓰는 거는 별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이게핵심) 단축키 하나만으로 절전모드 바꾸기
오늘 알려드리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그냥 단축 키를 이용해서 그냥 절전모드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바로는 안 되고 10초만 설정해야 되는데요.
뭘 설치하는 게 아니니까 빠르게 따라 해보세요.
✅ “실수로 지워진 소중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몇십만원하는 복구업체 안끼고 집에서 완벽복구할 수 있다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를 눌러줍니다.
만약에 우클릭했을 때 뭔가가 더 있으면 [더 많은 옵션 표시] > [새로만들기] > [바로가기] 를 만들면 됩니다.
만약 저처럼 이거 더 많은 옵션 표시를 없애고 바로 이렇게 뜨게 하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복사해주세요.
그래서 바로 가기 그다음에 이 절전 모드 명령어를 이쪽에다가 복사해서 붙여놓고 저는 절전 모드로 갈 거지만 최대 절전 모드가 편하신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카피하시면 됩니다.
- 절전모드
(작업중인 정보가 RAM에 저장됨, 절전효과 및 깨어나는 속도 보통)
%windir%\System32\rundll32.exe powrprof.dll SetSuspendState -> 이부분을 복사
- 최대 절전모드
(작업중인 정보가 DISK에 저장됨 / 절전효과 더 큼 / 깨어나는 속도 느릴 수 있으니 NVMe 이상 추천)
%windir%\System32\rundll32.exe powrprof.dll SetSuspendState Hibernate -> 이부분을 복사
그다음에 [마침]을 눌러주면 위의 화면과 같이 아이콘이 생겼죠.
바탕 화면에 놓는게 싫으시면, 내 문서나 다른 폴더에 넣으셔도 됩니다.
그다음에 생성된 아이콘을 우클릭해서 맨 밑에 속성 이쪽에 바로 가기 키 현재 없음 상태인데 여기다가 편하신 단축키를 바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ctrl + Shift + f12키로 저는 하겠습니다.
편하게 내가 쓰고자하는 단축키명을 바로가기키에 작성해주고 [확인] 눌러주면 끝입니다.
✅ “퇴근이 3시간 빨라집니다” 380만명이 감탄한 업무시간 완전 빨라지게 만드는 컴퓨터 작업 (사무보조 노가다 필수!)
단축 키를 눌러서 쓰시면 되는데 이름이 좀 그러면 [이름 바꾸기]를 입맛에 맞게 바꾸고 아이콘이 좀 그러면 우클릭해서 [속성] > [아이콘 변경]을 해줘도 좋습니다.
이렇게해서 절전모드까지 여러번 거치지 않고 단축키만으로 컴퓨터 전기세를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한번 설정해놓으면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위의 내용이 따라하기 버겁다면 아래 영상 <맨날 수리야>의 영상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